Q

(질문) 랜섬웨어에 걸린 데어터가 있다면 어떤 방식으로 백업을 처리해야 보안상 가장 안전한지 말씀해 주세요?

방극민 2020-10-07 14:59
A

지스케일러는 단말 자체의 보안이 아닌 단말의 인터넷 / 클라우드 트래픽에 대한 보안을 적용함으로, 랜섬웨어에 감염된 단말이 C&C 등과 접속하는 과정을 차단 하는 방식 입니다.

인승진 2020-10-07 15:01
A

주요 SD-WAN 제조사들과 이미 호환 및 통합되어 있으므로, SD-WAN 구간에도 기존 지스케일러 사용 구간과 동일하게 보안 서비스 및 정책 적용 됩니다.

이헌주 2020-10-07 15:00
Q

[질문] 아무리 좋은 규정이나 솔루션이 있어도 제대로 운영하지 않으면 구멍이 날수 밖에 없을텐데요. 준수 여부에 대해서는 어떻게 관리하는게 좋을까요?

이규승 2020-10-07 14:5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전사적 표준 보안 정책이 가능하다고 하셨는데, 그럼 재택근무 할 때도 사무실에 근무 할 때와 똑같이 보안 정책이 수행되는 것인가요?

방제원 2020-10-07 14:57
A

사무실, 재택근무, 출장, 외부 등 장소의 물리적 제약은 없습니다. 임직원 개개인이 어디에 있던 보안 정책과 서비스가 적용됩니다.

이헌주 2020-10-07 14:59
Q

[질문] 통합보안이면 전직원 또는 본사나 지사에 똑같은 정책으로 사용해야 되나요?

김수현 2020-10-07 14:57
A

통합보안: 본사, 지사, 그룹, 지역, 부서별, 개인 등등 정책을 세분화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국가별 컴플라이언스에 맞도록 정책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헌주 2020-10-07 14:58
A

기업의 통합 정책을 기본으로 운영하며 필요한 경우 부서나 인력별 개별 정책을 추가적으로 설정 하여 운영이 가능 합니다.

인승진 2020-10-07 14:59
Q

[질문]오피스365를 도입하려고 하는데, 보안과 네트워크 정책이 까다롭습니다. 지스케일러는 이런 경우에 어떻게 지원하시는 지요?

이상욱 2020-10-07 14:57
A

지스케일러는 O365의 보안정책이 자동 적용됩니다. 지속적인 업데이트, 변경이 지속적으로 자동 적용되므로 서비스 관리가 간단해 집니다. 그리고 귀사의 O365 사용에 대한 정보를 보여드리므로 가시성 확보에도 도움을 드립니다. MS O365에서 추천하는 보아 솔루션 입니다.

이헌주 2020-10-07 14:57
Q

[질문]멀티클라우드구성에서 장애대비 권고하는 dr백업 구성 네트워크 망구성이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0-10-07 14:5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Cloud플랫폼에서 사용자별로 보안 접근 레벨이 차이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발표자료에서 동일 보안 레벨이라고 보았는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윤태호 2020-10-07 14:5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사용자의 단말이 감염되거나 문제(랜섬웨어 등)가 있을 때, ZTNA에 접속하면 어떤 방식으로 탐지하여 격리 등 어떤 처리가 되는지 문의합니다.

지정호 2020-10-07 14:5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클라우드 도입 초기부터 멀티클라우드로 전환을 고려해야할 경우 주의할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방극민 2020-10-07 14:52
A

일반적으로 기존 장비 기반의 서비스의 경우는 멀티 클라우드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나, 지스케일러의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멀티 테넌트 서비스를 근간으로 시작 하여 추가적인 고민 없이 멀티 글라우드 환경을 지원 합니다.

인승진 2020-10-07 14:5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사내 Compliance 대응을 위한 SASE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할까요?

박완주 2020-10-07 14:48
A

필요한 기능, 정책 모두 회사별로 별도 설정 및 관리 됩니다.

이헌주 2020-10-07 14:49
A

SASE 프레임을 기반으로 사내 Complince를 위해 필요한 솔루션 / 서비스 모델을 구축 하여야 합니다.

인승진 2020-10-07 14:52
Q

[질문]SASE(Secure Access Service Edge)’과 기능 vpn암호화 솔루션과 차별성과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0-10-07 14:47
A

SASE 프레임워크 중 ZTNA 아키텍쳐가 기존의 VPN의 한계를 개선하는 방식 입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기존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식 이라면, ZTNA의 경우는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고 외부에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는 IP나 DNS정보를 유출 하지 않도록 지원 합니다.

인승진 2020-10-07 14:50
Q

[질문] ZTNA솔루션인 ZPA가 IPsec 또는 SSL-VPN을 대체하는 솔루션으로 이해하면 되는건가요? 만일 그렇다면 왜 일반 VPN솔루션은 안정적이지 않다고 봐야 할까요?

이승조 2020-10-07 14:46
A

기존 VPN의 경우는 외부에 VPN서비스 지원을 위한 주소를 DNS로 등록 하고 이 경우는 외부에 공개되며, 공격의 대상이 됩니다. ZPA의 경우는 외부에 서비스에 대해 공개되는 IP나 정보가 없이 안전한 터널 연결을 지원합니다. 즉 공격을 하고 싶어도 공격 주소를 찾을 수 없습니다.

인승진 2020-10-07 14:48
Q

[질문] 팬데믹이슈로 인한 재택, 언택, 비대면 근무의 대세적인 부상으로 인하여 네트워크 상의 보안이 너무나도 중요해졌습니다. 허나, 늘어나는 보안 강화 숫자 만큼이나 이것저것 신경쓰고 관리해야할 제반적인 사항들이 많다 보니 업무 효율이 오히려 떨어지는 이슈를 안게 되었습니다. SASE(Secure Access Service Edge) 솔루션은 이러한 제반적인 측면에서 적용시 사용자의 이런 부담 줄여주고 편리함을 제공하는지 궁금합니다.

이규승 2020-10-07 14:40
A

방금 전 말씀 드린 바와 같이 SASE는 특정 솔류션을 지칭 하는 것이 아닌 프레임워크로 인식 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팬데믹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인 솔루션으로 고려되고 있는 것이 ZTNA 기반의 솔루션 입니다. 지스케일러에서는 ZPA(Zscaler Private Access)라는 솔루션으로 이 부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인승진 2020-10-07 14:43
A

사용자의 보안을 위해 필요한 모든 보안 기능를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고 통합관리 및 관리의 단순화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드립니다.

이헌주 2020-10-07 14:43
Q

[질문]mpls-vpn,saas를 사용하고 있는 망에서 sd-wan으로 전환시 고려해야할점과 권고하는 솔루션이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0-10-07 14:3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보안측면에서 URL Filtering 기능이 제공되는거 같습니다만, 자체 DB(탈레스?) 또는 BrightCloud Threat Intelligence 등도 함께 협업하여 사용되는것인지요?

이승조 2020-10-07 14:3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김민호 님 " SD-WAN & SASE에 대해 오늘 발표하는 벤더별 한눈에 볼 수 있는 스펙비교표 또는 장단점 비교표 요청 드립니다."

데이터넷TV 2020-10-07 14:3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sd-wan의 qos정첵 적용시 기존망과 차별화하여 고려할 사항이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0-10-07 14:31
A

기존 라우터의 QoS 와 동일하게 LLQ(PQ), WRR, WRED, rewirte 를 지원하므로 기존 라우터의 QoS 정책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 기존 라우터의 L3/L4 분류뿐만 아니라 Application layer까지 분류가 가능합니다.

시스코 2020-10-07 14:40
Q

[질문] Zero Touch Provisioning에 구체적인 설명도 부탁드립니다.

윤태호 2020-10-07 14:30
A

공장 초기값 상태의 SD-WAN 장비가. Internet 회선의 DHCP환경에서 DHCP를 통해 IP를 할당받고 DNS query 를 통해 Global ZTP server에 접속하면 Global ZTP server에 연동된 고객의 smart account에 등록된 장비로 판명되면, 고객의 controller를 알려주고, 고객의 controller에서 config및 routing 정보, policy를 다운로드받아 자동으로 SD-WAN 에 연동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담을 체크해 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시스코 2020-10-07 1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