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케일러는 단말 자체의 보안이 아닌 단말의 인터넷 / 클라우드 트래픽에 대한 보안을 적용함으로, 랜섬웨어에 감염된 단말이 C&C 등과 접속하는 과정을 차단 하는 방식 입니다.
주요 SD-WAN 제조사들과 이미 호환 및 통합되어 있으므로, SD-WAN 구간에도 기존 지스케일러 사용 구간과 동일하게 보안 서비스 및 정책 적용 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사무실, 재택근무, 출장, 외부 등 장소의 물리적 제약은 없습니다. 임직원 개개인이 어디에 있던 보안 정책과 서비스가 적용됩니다.
통합보안: 본사, 지사, 그룹, 지역, 부서별, 개인 등등 정책을 세분화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국가별 컴플라이언스에 맞도록 정책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통합 정책을 기본으로 운영하며 필요한 경우 부서나 인력별 개별 정책을 추가적으로 설정 하여 운영이 가능 합니다.
지스케일러는 O365의 보안정책이 자동 적용됩니다. 지속적인 업데이트, 변경이 지속적으로 자동 적용되므로 서비스 관리가 간단해 집니다. 그리고 귀사의 O365 사용에 대한 정보를 보여드리므로 가시성 확보에도 도움을 드립니다. MS O365에서 추천하는 보아 솔루션 입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존 장비 기반의 서비스의 경우는 멀티 클라우드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나, 지스케일러의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멀티 테넌트 서비스를 근간으로 시작 하여 추가적인 고민 없이 멀티 글라우드 환경을 지원 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필요한 기능, 정책 모두 회사별로 별도 설정 및 관리 됩니다.
SASE 프레임을 기반으로 사내 Complince를 위해 필요한 솔루션 / 서비스 모델을 구축 하여야 합니다.
SASE 프레임워크 중 ZTNA 아키텍쳐가 기존의 VPN의 한계를 개선하는 방식 입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기존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식 이라면, ZTNA의 경우는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고 외부에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는 IP나 DNS정보를 유출 하지 않도록 지원 합니다.
기존 VPN의 경우는 외부에 VPN서비스 지원을 위한 주소를 DNS로 등록 하고 이 경우는 외부에 공개되며, 공격의 대상이 됩니다. ZPA의 경우는 외부에 서비스에 대해 공개되는 IP나 정보가 없이 안전한 터널 연결을 지원합니다. 즉 공격을 하고 싶어도 공격 주소를 찾을 수 없습니다.
방금 전 말씀 드린 바와 같이 SASE는 특정 솔류션을 지칭 하는 것이 아닌 프레임워크로 인식 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팬데믹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인 솔루션으로 고려되고 있는 것이 ZTNA 기반의 솔루션 입니다. 지스케일러에서는 ZPA(Zscaler Private Access)라는 솔루션으로 이 부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의 보안을 위해 필요한 모든 보안 기능를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고 통합관리 및 관리의 단순화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드립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기존 라우터의 QoS 와 동일하게 LLQ(PQ), WRR, WRED, rewirte 를 지원하므로 기존 라우터의 QoS 정책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 기존 라우터의 L3/L4 분류뿐만 아니라 Application layer까지 분류가 가능합니다.
공장 초기값 상태의 SD-WAN 장비가. Internet 회선의 DHCP환경에서 DHCP를 통해 IP를 할당받고 DNS query 를 통해 Global ZTP server에 접속하면 Global ZTP server에 연동된 고객의 smart account에 등록된 장비로 판명되면, 고객의 controller를 알려주고, 고객의 controller에서 config및 routing 정보, policy를 다운로드받아 자동으로 SD-WAN 에 연동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담을 체크해 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