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실제 운영 중인 API 트래픽에서 false positive를 줄이기 위한 기준값 설정, 학습 데이터 범위 지정, CI/CD와 연계한 정책 업데이트 방식 등에 대해 기술적으로 궁금합니다. 머신러닝 기반 API 이상 행위 탐지 시, 정상/비정상 기준의 학습 기간 및 오탐 최소화를 위한 튜닝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이상욱 2025-07-03 14:12
A

오탐을 줄이기위해 API별 트래픽 특성을 자동으로 학습하여 정상패턴기반의 탐지모델새ㅔㅇ성 후 이상탐지만 탐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요청속도나, 사이즈, 지연시간등을 통해 입계값을 조정하고 위협들을 등급화(scoring)하여 행동패턴기반의 위협점수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합니다.

F5 KOREA 2025-07-03 14:25
Q

[질문] AI기반의 보안의 침해대응속도는 어떠한지 API 전략을 위한 모든 기능권한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최준 2025-07-03 14:11
A

F5의 Distributed Cloud WAAP는 L7 API트래픽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탐지 시 즉시 차단하거나 레이트리밋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API Endpoint단위로 제어해서 URL 경로별 인증/인가정책 적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API호출에 포함된 JWT 클레임이나 OAuth Scope등을 기반으로 세버적으로 접근제어가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Open API Spec기반으로 등록되지 않은 API요청을 탐지하고 차단시킬 수 있습니다.

F5 KOREA 2025-07-03 14:21
Q

[질문] 서비스 메시(Istio 등)나 ingress controller, sidecar 패턴과의 호환성, 로그/메트릭 수집 방식과 운영 편의성에 대한 정보가 궁금한데, F5의 API 보안 솔루션은 에이전트 기반/비기반 방식 중 어떤 배포 모델을 채택하며, 쿠버네티스 환경과 같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조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하나요?

이상욱 2025-07-03 14:11
A

F5의 API보안솔루션은 클라우드 네이티브환경에서 비에이전트방식으로 동작합니다. F5 DIstributed Cloud WAAP나 BIG-IP AWAF는 프록시기반의 보호방식이므로 애플리케이션에 에이전트를 삽입하지 않고, L7트래픽이 흐르는 경로상에 위치해 API요청들을 학습하고 분석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F5 KOREA 2025-07-03 14:18
Q

[질문] OpenAPI 스펙, Swagger 문서, API Gateway 설정 등과의 연동 여부 및 운영 자동화 관점에서의 통합 기능 지원 여부를 알고 싶은데, 쉐도우 API 탐지 시, 기존 API 문서화 체계와 연계하여 자동 동기화가 가능한가요?

이상욱 2025-07-03 14:10
A

F5 Distributed Cloud(XC)는 코드기반의 API 디스커버리를 통해 트래픽을 분석해 Shadow API를 탐지하고, OpenAPI(Swagger) 스펙을 자동 생성하거나 기존 스펙과 비교해 차이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관리가 어려운 API 엔드포인트를 코드와 연동해서 업데이트하거나 재설계할 수 있게 합니다. 탐지된 API는 카탈로그로 관리되어 그룹별로 일관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F5 KOREA 2025-07-03 14:15
A

가능 합니다. 기존 sawgger파일을 API discovery에 upload해서 known api로 관리 되고, 이후 발견되는 shadown api들을 통합해서 swagger 파일로 제공합니다.

F5 KOREA 운영자 2025-07-03 14:16
Q

[질문]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간 API 호출이 혼재된 하이브리드 구조에서, F5는 API 경로 추적 및 통합 보안 정책 관리를 어떻게 지원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재현 2025-07-03 14:10
A

F5의 SaaS 서비스인 Distributed Cloud(XC)는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모두의 API 트래픽을 단일 콘솔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API 경로 추적을 위해 분산된 환경에서도 트래픽을 수집하고 분석해서 API 호출 경로와 종단간 흐름을 가시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번 정의된 인증, 권한, WAF, Bot Defense 정책을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엣지 어디서나 일관되게 적용해서 통합 보안 정책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환경에서도 API 가시성 + 동일한 보안 정책을 유지할 수 있게 설계된 게 강점입니다

F5 KOREA 2025-07-03 14:13
Q

[질문] AI Agent와 연결된 API가 생성하는 비정형 트래픽에 대해, 기존 보안 체계에서 놓칠 수 있는 위협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정민호 2025-07-03 14:09
A

말씀대로 AI Agent와 연결된 API는 전통적인 웹트래픽과 다른 비정형 트래픽 패턴을 발생시킵니다. Prompt Injection, API 오남용이나 Data leakage와 같은 데이터노출과 같은 위협이 있습니다.

F5 KOREA 2025-07-03 14:15
Q

[질문] Shadow API 및 승인받지 않은 API관리는 어떻게 하는게 효과적일까요?

이재명 2025-07-03 14:08
A

Shadow API나 승인받지 않은 API를 관리하는 핵심은 먼저 식별하는 것입니다. F5는 트래픽을 분석해서 숨겨진 API를 자동으로 찾고 목록화하고 비인가 API는 차단하거나 권한을 제한하고, 필요한 API에는 인증, WAF, 봇 방어 같은 정책을 적용해 보호합니다. 즉, 찾고 관리하고 보호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F5 KOREA 2025-07-03 14:10
A

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Shadow API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것이 좋은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F5 KOREA 운영자 2025-07-03 14:11
Q

[질문]ai 정보를 활용한 침입탐지차단 시스템을 구축한 사례가 있는지요?

윤상 2025-07-03 14:08
A

AI환경을 보호하기위한 국내 구축사례는 현재 테스트를 진행중인 고객사가 여럿있고, 아시아권 해외사례에서는 WEB보안+API보안+AI보안에 대한 포괄적인 보안아키텍처를 구축한 사례가 있습니다.

F5 KOREA 2025-07-03 14:13
Q

<질문> 저희 회사도 AI를 활용하여 다양한 비즈니스 서비스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보안유출의 위험도 역시 증가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기존의 보안시스템과는 차별화된 보안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F5에서 제시하는 보안전략은 어떠한 것이 있으며 실제 활용사례도 궁금합니다.

김도윤 2025-07-03 14:04
A

AI워크로드는 대부분 API기반통신이므로 API에 대한 보안을 제공하고 있고 LLM 모델을위한 OWASP LLM Top10 을위한 AI Gateway 보안플랫폼을 제공합니다.

F5 KOREA 2025-07-03 14:07
Q

[질문] AI/ML, 고성능 데이터 분석 등 최신 엔터프라이즈 워크로드를 위해서는 고성능 스토리지가 필요하다고 보는데, AI 프로세스 적용시 시스템운영(속도,Set-up등)에 대한 이슈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와 관련한 문제발생/햬결사례가 궁금합니다.

장혁수 2025-07-02 16:3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HDD를 사용하는 AI 스토리지를 실제로 사용하는 사례도 있는지 그리고 이런 스토리지는 주로 어떤 장점 때문에 이용되는지 궁금합니다.

전영진 2025-07-02 15:0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SSD 기반 NAS가 모든 환경에서 HDD보다 우월하지 않은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신홍동 2025-07-02 14:5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SSD와 HDD를 조합할 때, AI 분석용 NAS에서는 보통 어떤 기준으로 데이터 계층을 나누는 전략을 많이 사용하나요?

방성현 2025-07-02 14:5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최신 NFS 구조를 병렬처리 진행을 한다면 MDS 분리 외 다양한 이점은 없는건가요?

한승민 2025-07-02 14:5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데이터 보호를 위해 이중화나 삼중화 등 재해 복구 방안은 어떻게 시행하는지요?

조한나 2025-07-02 14:5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중소기업 환경에서 티어 구성을 할 때 가장 많이 실수하는 사례는 무엇인지요?

신익주 2025-07-02 14:4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NAS를 기반으로 한 AI 스토리지 환경에서 RAID 구성 방식은 여전히 일반적인가요, 아니면 다른 방식이 대체되고 있나요?

방성현 2025-07-02 14:4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노드 추가에 따른 선형 성능 상승이 가능한지 그리고 성능 향상의 최대 한계는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전영진 2025-07-02 14:4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NAS에서 사용되는 SSD는 반드시 고급형 NVMe이어야 하나요?

김홍식 2025-07-02 14:4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데이터 용량과 처리가 늘어나면서 확장이 필요한데, 노드 확장시에도 균일한 성능 유지를 위해 적용된 기술이나 서비스는 무엇인가요?

주영선 2025-07-02 14:4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