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온프레미스 대비 클라우드 전환시 특히 보안같은 부가서비스를 이용시 의도치 않은 운영관련 및 전문관리비가 추가되어 부담되는데 비용을 최소화면서 운영 및 보안까지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운영하기위한 포괄적인 방안이 궁금합니다.

비회원 양재영 2024-08-27 14:1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방대한 IT 자산관리 솔루션 관리를 위해 담당자나 팀의 업무 Resource 관리 차원에서 하드웨어(Network Server 나 Storage, IT Infra)와 Software(프로그램 라이선스등) 이런것들을 구독형 서비스로 Turn-Key 개념으로도 솔루션을 제공하나요? 그렇다면 사용자 쪽 자산으로 잡히지 않아 상당히 좋은 솔루션이 될 것같습니다.

권영호 권영호 2024-08-27 14:1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IT 자산 규모에 따라 서비스나우의 서비스 이용에 제한이나 변경점이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남진 이남진 2024-08-27 14:1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IT자난 외 공장설비들에 대한 유지보수, 예방보수 등의 관리도 가능 한지요?

비회원 양승립 2024-08-27 14:10
A

서비스나우 Operational Technology Management 솔루션을 통해서 IoT 장비에 대한 검색이 가능합니다.

A

Enterprise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EAM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문적인 유지보수, 예방보수 관리 툴과의 연동을 통해 그 현황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

Q

[질문] 서비스나우의 통합 IT 자산 관리 솔루션을 도입했을 때 평균적으로 기업이 기대할 수 있는 비용 절감 비율이나 ROI는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김홍식 김홍식 2024-08-27 14:10
A

서비스나우의 통합 IT 자산 관리 솔루션을 통해서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전반적인 자산에 대한 End-to-End 가시성 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에 대한 기대를 하십니다.

Q

[질문] IT자산관리의 시작은 인벤토리작성에서부터 시작하는데 이들의 현황조사를 오프라인으로 하면 너무 많은 공수와 시간이 필요합니다. 서비스나우는 온라인으로 자동적으로 현황과 업데이트하는 방안이 있는지요?

비회원 양승립 2024-08-27 14:09
A

서비스나우 ITOM이라는 제품을 통해서 IT 자산에 대한 쉬운 Discovery 및 현행화가 가능합니다.

A

서비스나우는 Automation Discovery, Excel upload, 타 시스템과의 연동 등을 통해서 보다 쉽게 자산 데이터를 현행화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Q

[질문] 자산 실사 시 하드웨어는 확인이 쉬우나 소프트웨어의 경우 어떤식으로 실사를 하는건가요?

이남진 이남진 2024-08-27 14:06
A

SW는 SW가 설치된 H/W 를 기반으로 Discovery를 실행하여 설치된 S/W를 확인합니다. 그 이후, 자산관리 대장과 비교 검토를 통해 현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A
A

서비스나우는 Now Platform 기반으로 서비스나우 제품 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과 쉽게 연결이 가능합니다. 특히, 소프트웨어의 경우는 서비스나우 ITOM이라는 제품을 통해서 Discovery 후, ITAM 과 연동하여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있습니다.

Q

[질문] 기존의 다른 it 시스템과의 통합은 어떻게 이루어 지나요?

비회원 김해연 2024-08-27 14:05
A

구매시스템, SAP 등의 상용화된 툴과 쉽게 연동할 수 있는 서비스나우 Integration Hub 를 이용한 타 시스템 연동을 하거나 API 를 개발하여 쉽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

Q

[질문] 감가상각을 고려해 자동으로 자산 제외 시켜주는 기능도 존재하는지요?

이남진 이남진 2024-08-27 14:05
A

구매, ERP 등과 연동하여 자산 구매 - 사용 - 폐기까기 전 자산의 Lifecycle 관리가 서비스나우 ITAM으로 가능합니다.

A
A
A

Asset workplace에서 비즈니스 룰을 만들어서 제외시켜주는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Q

[질문] 자산의 범위가 어떻게 되나요? H/W, S/W, 개발 App 등을 어느 부분까지 포함하나요?

비회원 이재학 2024-08-27 14:04
A

일반적으로는 On-Prem, Cloud 환경의 H/W, S/W IT 자산과 기업의 IT 자산을 제외한 일반적인 자산을 모두 포함해서 자산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Q

[질문] IT 자산 범위는 어디까지로 정의를 해야하는건가요?

이남진 이남진 2024-08-27 14:04
A

일반적으로는 On-Prem, Cloud 환경의 H/W, S/W 자원이 IT 자산으로 보시면 됩니다.

A

자산을 관리하실 때 그 범위는 관리 가능한 수준에서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욕적으로 소모품으로 취급되는 자산까지 그 관리 범위를 확대하시면, 나중에 관리가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Q

[질문] 자산 관리 기준과 체계를 구축해놓아도 수시로 바뀌는 자산 상황에 즉시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즉 IT자산 관리의 핵심은 자산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느냐인 듯 한데, 이와 관련하여 참고할만한 모범 답안이나 사례가 있을지요??

김경훈 김경훈 2024-08-22 10:20
A

네. 당사에서 제안드리는 자산 관리 방안은 프로세스 자동화를 통해 변경 사항이 자동으로 자산 데이터에 업데이트되는 방안입니다. 이를 통해 자산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실 수 있고, 수작업 업무를 줄이실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웨비나를 통해 상세 소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오희정 오희정 2024-08-23 18:32
Q

여성은 평등해지기 위해서 자신보다 우월하다면 다른점을 찾아내고 그것으로 같은 여성도 차별을 하는 존재가 되어 버린건가? 아니면 시기와 질투를 평등이란 이름으로 감추고 있는것인가?

김동운_15374 김동운_15374 2024-08-21 13:4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보안관리자입장에서 개인정보보호에 위배되지않는 선에서 열람과 문서에 대한 사전검열을 어떤기준과 근거를 가지고 대응할 수 있을까요? 실사용자가 이메일등에 첨부 된 무명의 파일을 여는 순간 문서보안툴은 어떤 조치와 방어를 해주는지 궁금합니다. 멋진강연 기대합니다.

Jason Jason 2024-08-21 11:3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결국은 통합관리의 문제인데요...어떤주기로 어떤항목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이 필요합니다. 내외부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고 심지어 담당자가 바뀌었을때도 관리의 기준선을 어디까지 지킬것인지....이러한 관점에서도 답변부탁드릴게요. 멋진 강연 기대합니다.

Jason Jason 2024-08-21 11:33
A

궁금해하시는 다양한 유형의 자산에 대한 관리 방안을 이번 웨비나를 통해 소개드릴 예정입니다.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및 사용자 단말 포함, 다양한 방법으로 하드웨어 및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탐지합니다. 또한 자산 라이프사이클 전반의 상태가 워크플로우와 연계되어 업데이트가 됩니다. 담당자가 자산을 신청하는 순간부터 자산 레코드가 생성 및 관리됩니다. 상세 내용은 웨비나를 통해 소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오희정 오희정 2024-08-23 18:36
Q

[질문] 웨어러블 AI가 고도화되면 주인도 알아보고 서비스되지 않을까요?

임종택 임종택 2024-08-02 14:53
A

그럴 수 있을 겁니다 :) 그런데 링은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요?.. 이 아이디어 있으면 돈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ㅎㅎㅎ

안철준 촌장 안철준 촌장 2024-08-02 14:55
Q

[질문] 갤럭시링이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인가요?

김홍식 김홍식 2024-08-02 14:48
A

아래 답변 드렸습니다. :)

안철준 촌장 안철준 촌장 2024-08-02 14:51
Q

[질문]금융산업에서 AI를 활용한 시장 분석과 증권 예측 등에 활용하는 상품이 많았었는데, 현재는 어떻게 되는지요? 금융 상품에 적용하는 분석,예측 모델링 내용이 비슷한 경우에는 활용하는 회사만 다르고 동일하거나 비슷한 결과를 산출하게 되고, 오류도 비슷하게 되는지요? 향후 AI를 통한 금융 상품 등 모델링 개발은 어떻게 보시는지요?

지정호 지정호 2024-08-02 14:47
A

금융권은 AI를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가장 많은 분야 중 하나일 것 같습니다. 구체적인 사례는 저도 확인해야 겠습니다만, 현장의 얘기를 들어보면 역시 데이터의 보안, 개인정보 등이 가장 민감한 영역이라 AI 학습과 운영에 대한 걸림돌이 가장 크고 이 부분에 대한 신뢰성이 담보되어야만 움직일 수 있다고 합니다.

안철준 촌장 안철준 촌장 2024-08-02 14:51
Q

[질문] 갤럭시링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삼성은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까요?

신익주 신익주 2024-08-02 14:46
A

늘 얘기하는 것지만, 기능 추가보다는 이것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섹시한 사용 케이스를 넓히는 것 밖에는 없어 보입니다. AI를 이용한 실시간 번역은 꽤나 삼성 갤럭시가 선도적으로 잘한 분야라고 보입니다. 갤럭시링도 이것으로 무엇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잘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차별화된 것을 보이느냐가 핵심이겠죠. 일단 얘기나오겠지만, 뭔가 사람들이 봤을 때 링을 찬 사람이 멋져보여야 합니다 ㅎㅎㅎ

안철준 촌장 안철준 촌장 2024-08-02 14:48
Q

[질문] 결국 AI 모델도 "돈"이 되어야 더 많은 발전이 될것같은데요 개인적으로는 2차전지산업과 같이 캐즘이라는 이슈가 생길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처음에는 신기해서, 호기심에, 편해서, 효율적인 부분도 있어서 월 3만원정도의 구독료를 납부해서 사용하였으나 이것이 지속가능하려면 결국엔 기업도 사용자도 돈이되어야 할것 같습니다. AI의 캐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권영호 권영호 2024-08-02 14:39
A

권영호님의 의견 동의합니다. - 지금은 좀 과도한 관심과 투자가 집중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 무한정 쏟아붇기만 해서는 지속성이 없겠죠. - 다만 지금 얘기하는 것처럼 장기적인 투자를 통해 언젠가는 이익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기대인데, 이 부분은 어느 정도는 정답이고 어느 정도는 또 오답이라고 보는 수 밖에 없겠죠. - 한정된 자원에서는 결국 선택과 집중 전략이 필요할 것입니다. - 요즘 온디바이스 AI 나 SLM 같은 접근 방식이 유효하다고 봅니다.

안철준 촌장 안철준 촌장 2024-08-02 1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