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트럼프가 당선되었을 때, 해킹 공격이 더 활발해질 것이라면 해킹 공격으로 인해 경쟁 기업이 도태되어 보안 투자를 잘 한 기업이 성공할 확률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할 수도 있을까요?

전영진 전영진 2024-08-30 14:5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이번 미국 대선이 과거 미국 대선들 대비 사이버 보안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점과 대선 이후 누구의 승리와 상관없이 가장 크게 변할 것으로 보는 정책이나 전략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비회원 조한나 2024-08-30 14:5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해리스가 당선되었을 때에는 기존의 보안 정책을 유지해도 되지만 트럼프가 당선되었을 때에는 CISA도 해체되고 미국의 사이버 안보 전략이 바뀜에 따라 국내 기업 입장에서도 보안 정책을 더 강화하고 보안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자해야 하는 것일까요?

전영진 전영진 2024-08-30 14:5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사이버 보안 환경 변화가 동맹국들에 미칠 영향은 무엇인가요?

김인섭 김인섭 2024-08-30 14:5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정말 트럼프가 CISA를 해체한다면 이는 말대로 해체이지, 재정비는 아니지 않나요? 재정비에 대한 plan은 무엇이 있나요? 해체 자체가 전략일 수는 없을 것 같은데요.

이형준 이형준 2024-08-30 14:5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트럼프와 해리스의 사이버 보안 접근법 중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하시나요?

신익주 신익주 2024-08-30 14:55
A

트럼프의 경우 본인을 위해 사이버 보안과 관련된 정책을 손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때문에 해리스가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고 지지하는 입장이라고 생각됩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다온기술_고성종 2024-09-01 20:36
Q

[질문] 해리스 당선 시에 기존 사이버 안보 정책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전망하고 있는데 그러면 별도로 대응하거나 전략을 세울 필요는 없는 것인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략 수정이 필요한지요?

비회원 주영선 2024-08-30 14:54
A

아직 정확한 정책 방향이 나오지 않아서 예단하긴 어렵지만 바이든 정부의 정책을 계승한다면 최소한의 변화가 예상됩니다. 따라서 기존 정책에서의 변화방향을 예상해보는게 더 좋을꺼 같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다온기술_고성종 2024-09-01 20:34
Q

[질문] 사이버보안관련 자국특허기술 및 특허침해등에대한 경쟁등이 심화될것같습니다먀

비회원 양재영 2024-08-30 14:5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국토안보부는 내무부인데, 교통국은 부처가운데 거의 최하위의 영향력을 가진 곳 아닌가요?

이형준 이형준 2024-08-30 14:53
A

미국내 정보보안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부분이 그러한 내용입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다온기술_고성종 2024-09-01 20:33
Q

[질문]일본 네이버 라임 사태처럼 미국 해리스와 트럼프가 당선에 따라 우리나라와 중국에 미치는 보안과 경제의 주요 변화는 무엇으로 예상하시는지요? 메모리 등 전략적 산업에 대한 보안 강화와 미국 자국 내 보호 정책으로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떻게 예상하시는지요?

지정호 지정호 2024-08-30 14:52
A

미국은 현재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전략기술 보호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내 진출한 기업의 경우 미국의 법을 따를 수 밖에 없는 현실에서 그 영향도를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미국의 경우 기업의 자율을 보장하는대신 그만큼의 책임을 강하게 부과하기때문에 이점을 예의주시 할 필요가 있을것 같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다온기술_고성종 2024-09-01 20:32
Q

[질문] 미국 대선의 결과에 따라 한국의 사이버 보안 환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김홍식 김홍식 2024-08-30 14:48
A

한국의 경우 미국의 사이버 안보 전략과 어느정도 발걸음을 맞추어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 정부에서 제시한 국가안보전략내 사이버 안보 전략이 그러한 내용을 뒷받침 합니다. 때문에 미국의 사이버 안보 전략이 변화하면 한국의 사이버 안보 전략의 수정도 불가피 하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그 범위에 대해서는 국내 상황과 향후 정책적인 사항이 고려될것 같습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다온기술_고성종 2024-09-01 20:29
Q

(질문) 최신 사이버 침해탐지에 있어 AI 기반 위협 탐지 엔진을 바탕으로 자동화 및 실시간 업데이트 수행도 하고 있나요?

비회원 이경석 2024-08-30 14:4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미국의 경우, 국방성 연구 프로젝트나 표준연구소 프로젝트 대부분이 학교나 기업에서 이루어 지는데, 이는 정치적 입장에 따른 보안 전략의 변화가 아닌, 기업에 의한 정책의 변화 부분이 훨씬 더 크지 않을까요?

이용석 이용석 2024-08-30 14:4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경제 및 사회 이슈에 따라 보안공격 종류도 많이 변화하는군요

비회원 이남진 2024-08-30 14:4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이번 대선이 끝난 후,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되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신홍동 신홍동 2024-08-30 14:46
A

웨비나에서도 말씀드렸듯이 트럼프가 당선되었을경우 CISA의 해체가 예상되며 이로 인한 혼란이 가장 염려되는 부분입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다온기술_고성종 2024-09-01 20:26
Q

[질문] S-BOM에 대한 표준연구소의 스펙이 나온 것은 언제 인가요?

이용석 이용석 2024-08-30 14:4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미국 사이버 보안 환경관련 이슈해결노하우와 과 우리나라의 사이버 보안 잔략과의 차별점이 궁금합니다

전승호 전승호 2024-08-30 14:4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진보성향, 보수성향에 따라 보안 전략이 많이 달라질 것 같은데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비회원 이남진 2024-08-30 14:4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Defend forward의 경우, 가장 큰 문제점이라 생각되는 것이 수많은 false positive에 대한 과잉 방어인데, 이런 문제가 실제 발생하지는 않았나요?

이형준 이형준 2024-08-30 14:4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챗지피티 때문에 보안이슈가 많은데 완벽하게 안전하게 관리 해줄 기술이 준비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비회원 이남진 2024-08-30 14:3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