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 케이블, 기계 등도 가능합니다. 실제 이러한 타공정도 적용하려는 니즈가 강하고 테스트까지 완료된 상황입니다.
계획된 계획을 시뮬레이션이 아니라 현장에서 조닝계획을 통해 100% 일치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교육은 2시간이면 충분합니다. 비용은 1copy에 36만원/1년 입니다. 설문으로 남겨주시면 좀 더 자세한 설명 드리겠습니다.
COPY 기준이 사용자 기준인지요?
네 공장의 제조공정도 관리 가능합니다. 곧 그 기능과 사례가 소개됩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BIM을 모든 건설사가 추진하는 배경은 이제는 DX라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디지털화된 데이터가 곧 빅데이터이고 이를 통해 차기 프로젝트의 사업성 검토, 사업수행 등에 수행되고 있습니다. 곧 웨비나 전에 소개된 현대산업개발의 사례가 그 예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현장의 마스터 플랜은 굉장히 유연해서 현장 여건에 따라 자주 바뀝니다. 그런데 기존에는 이를 공장이 따라갈 수 없었는데 3D기반의 플랫폼을 사용하면 볼수 있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공기가 촉박하고 딜레이 되던 현장에서 도입후 계획 대비 25% 공기가 단축된 사례가 있습니다.
구조해석 모델이 있다면 Tekla Structures로 컨버트하여 디테일도 굉장히 손쉽게 넣을 수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광범위하여 설문을 남겨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기본 설계 정보와 구조해석 결과를 반영하여 자동으로 Concept Drawing 수준의 설계안을 2~3가지 케이스가 작성되어 사용자는 그 케이스 디자인을 참고하여 Next Step을 진행 하는 것도 가능할까요?
2D는 사람이 일일이 데이터를 업데이트를 해야하고 가공해야하지만 3D는 그자체가 이미 디지털정보이기 때문에 즉시성이 있습니다. 이 점이 현장 담당자들에게는 굉장히 큰 의미를 주고 있습니다. 설계변경시 이러한 부분은 더욱 극대화 됩니다.
현재 포스코E&C, 현대엔지니어링. DL건설 등 다수의 건설사가 도입하였고 대쉬보드를 사용했던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등 발주처에서 이를 후속 프로젝트에도 사용할 것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가시성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BIM은 모델을 이루기 때문에 실제 공사 현장을 보듯이 공정을 관리할 수 있어서 공장에서도 설치되고 있는 현황을 알 수 있어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가시성"
플랫폼을 통해 위치가 다른 공장과 현장, 설계업체가 서로의 상태를 사전에 앎으로써 소통의 오류를 제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장과 현장이 의사결정함에 있어 보다 수월하게 일할 수 있습니다. 이게 공기 준수와 시공, 제작 오류 절감으로 이어져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 다루고 있는 주제입니다. 웨비나 끝까지 시청해주시면 답변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설문에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2D의 정보는 이를 활용함에 있어 제약이 있고 사람이 이를 가공하여 프로젝트 관리를 해야하는데 3D는 이미 그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해당되는 정보의 손실 없이 이러한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얘기하면 확장성이라 말할 수 있겠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